미국 월스트리트의 대표적 투자은행 중 하나인 모건스탠리가 국내 플랫폼 기업 네이버를 전 세계 로봇 산업의 대표적인 기술 기업으로 꼽았다.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소프트웨어 중심의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브레인'에 포함됐지만, 네이버는 '인테그레이터'에 선정됐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
네이버는 자율주행 로봇 '루키'와 로봇 전용 엘리베이터 '로보포트' 등 다양한 로봇 기술을 선보인 바 있다.
모건스탠리는 특히 네이버 계열사 네이버랩스가 2019년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에서 공개한 양팔로봇 ‘앰비덱스’(AMBIDEX·사진)를 주목
- 인공지능(AI) 칩, 소프트웨어·반도체를 개발하는 '브레인(반도체)'
- 하드웨어를 제작하는 '바디'
- 양자를 포함해 완전 로봇을 개발하는 '인테터그레이터(종합 기업)' 등 3개 부문
2040년에는 10억 대 이상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규모로 잠재적 시장 규모는 60조 달러로 추정
국내에서 네이버는 유일하게 휴머노이드 분야 기술 제공자로 분류
배터리
- LG에너지솔루션
- SK이노베이션
- 삼성SDI
반도체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휴머노이드 기술 수혜자로는 쿠팡, 롯데, GS 등 유통, 이커머스, 건설, 자동차, 등 산업의 기업들을 선정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토매티카 2025(Automatica 2025) (17) | 2025.02.21 |
---|---|
로봇의 역사 이야기(로봇의 기원, 산업 혁명과 자동화, 현대 로봇의 시작, 산업용 로봇의 발전, 휴머노이드 로봇의 등장, 자율 이동 로봇, AI와 로봇의 결합) (18) | 2025.02.18 |
휴머노이드 로봇(배터리, 센서, AI,보행능력, 그리퍼(Gripper)) (17) | 2025.02.16 |
청킹(Chunking) 기법(암기력, 기억력 증진, 청킹 방법) (6) | 2025.02.15 |
비행기(항공기) 보조 배터리 제한(2025년 3월) (14)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