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 코어는 제품의 내부 형상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으로, 사용 목적과 생산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선택됩니다. 주요 재질별 특장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강재(일반 금형강, 프리하든강, 열처리강)
재질명주요 특장점용도 및 비고
KP1, KP4, KP4M | 가공성 우수, 경제적, 내마모성 양호, 균일한 경도, 변형 적음 | 범용 금형, 베이스, 자동차 부품 등 |
P20 | 인성·내마모성 우수, 저렴, 질화로 수명 향상 | 플라스틱 금형에 널리 사용 |
738, 738H | P20 대비 개선된 내구성, 긴 수명 | 일반 플라스틱 금형 |
SKD61 | 내열성, 내마모성, 열충격 강함, 고경도(HRC 40~50), 열처리 필요 | 다이캐스팅, 열간 단조 금형 |
SKD11 | 고경도(HRC 58 이상), 내마모성 우수, 프레스 금형에 적합, 가공성은 다소 떨어짐 | 프레스, 냉간 단조, 칼날 등 |
DC53 | SKD11 대비 고온 인성·경도 개선, 정밀 금형에 적합 | 펀치, 다이스, 게이지 등 |
- 장점: 강도와 내마모성이 높아 반복 사용에 적합하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며, 다양한 가공에 대응 가능
- 단점: 일부 고경도 재질은 가공성이 떨어지거나 열처리 과정에서 변형 우려가 있음.
2. 프리하든강 (예: KP4M, NAK80 등)
재질명주요 특장점용도 및 비고
KP4M | 적당한 가공성, 내구성, 내식성, 저렴, 프리하든(HRC 45) | 일반 몰드, QDM 제작 등 |
NAK80 | 우수한 경면성, 방전가공성, 연마성, 내식성, 프리하든(HRC 48), 고광택 가능 | 경면 몰드, 투명·광택 제품 금형 |
스타박스 | 경면성·내식성·내구성 뛰어남, PVC 등 염소계 플라스틱에 적합, 고가, HRC 53 | 고급 금형, 내식성 요구 환경 |
- 장점: 열처리 없이 바로 사용 가능, 경면성·방전가공성 우수, 내식성 뛰어남
- 단점: 가격이 다소 높을 수 있음(특히 고급형).
3. 구리 및 구리 합금(순동, 베릴륨동, 인청동 등)
재질명주요 특장점용도 및 비고
순수 구리 | 최고의 열전도성·전기전도성, 표면 품질 우수, 가공성 뛰어남 | 정밀 부품, 표면 품질 중시 제품 |
베릴륨 동 | 강도·경도·내마모성 우수, 열전도성도 높음, 고가 | 고정밀·고내구성 금형 |
인청동 | 내식성·내마모성 우수, 스프링 등에도 사용 | 내식성 요구 부품 |
- 장점: 열전도성이 매우 뛰어나 냉각 효율이 높고, 표면 품질이 우수함. EDM 등 특수 가공에 적합
- 단점: 강도가 낮아 변형·마모에 취약, 가격이 강재보다 비쌈.
4. 스테인리스 계열(예: STAVAX, S136 등)
재질명주요 특장점용도 및 비고
STAVAX | 내부식성·내마모성·경면성 우수, 냉각수 부식 문제 해결 | 위생·투명·광택 제품 금형 |
S136 | STAVAX와 유사, 내식성·경면성 우수 | 고급 플라스틱 금형 |
- 장점: 내부식성 뛰어나 냉각수 부식 걱정 없이 장기간 사용 가능, 표면 품질 우수
- 단점: 가격이 높고, 가공성이 일반 강재 대비 다소 떨어질 수 있음.
5. 기타 특수강 및 합금강
- SKS3: 합금 공구강, HRC 58 이상의 고경도, 프레스 받침판 등에 사용
- 고속도 공구강(SKH51 등): 절삭성·내마모성 우수, 특수 절삭 공구에 적합
정리
금형 코어 재질은 제품의 요구 특성(강도, 내마모성, 경면성, 내식성, 냉각성능 등), 생산량, 가공 방법,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합니다.
- 강재 코어: 경제성, 내구성, 범용성
- 프리하든강/NAK80: 고광택, 경면성, 내식성, 방전가공성
- 구리/합금 코어: 냉각 효율, 표면 품질, 정밀성
- 스테인리스 계열: 내부식성, 위생, 고광택
각 재질의 특장점을 파악하여 용도에 맞는 최적의 금형 코어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제품 품질과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기구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종류 및 특징 (7) | 2025.05.03 |
---|---|
로봇공학의 기초 (18) | 2025.04.02 |
전기도금, 무전해 도금, 용융도금의 특징 용도 (4) | 2025.02.07 |
스크류 보스 설계(사출물, 보스, 싱크마크) (2) | 2025.02.06 |
사출물 문제점 및 대책(미성형, 기포, 싱크마크, 웰드라인) (3)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