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구설계

스크류 보스 설계(사출물, 보스, 싱크마크)

by 네오지 2025. 2. 6.

제품의 부품간 결합시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품 중에 하나가 스크류이다.

너트(인서트)와 같이 사용하기도 하지만 사출물에 직접 체결하여 제품의 생산 비용을 절감

직접 체결할 수 있게 스크류의 크기에 맞게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을 스크류 보스라 한다.

 

※ 효과적인 스크류 보스 설계를 위한 주요 고려 사항

아래 내용은 보편적인 설계 가이드로 사출기의 성능과 환경에 따른 조정이 필요

크기 및 형상

  • 보스의 직경은 사출 성형 부품의 벽 두께(t)와 동일하게 설계
  • 보스의 외경은 일반적으로 나사 주직경의 2~2.5배로 설계
  • 보스의 높이(h)는 보스 내경의 2배를 넘지 않도록 합니다

내부 구조

  • 보스 내경은 나사의 피치 직경보다 약간 작게 설계
  • 최소 나사산 물림 깊이는 나사 피치 직경의 2.5배 이상
  • 카운터보어를 추가하여 나사 체결 시 변위되는 플라스틱을 수용할 공간을 확보

외부 구조 및 보강

  • 보스를 외벽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리브를 이용해 연결하거나 지지합니다

 

  •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리브나 보강판으로 나사 보스를 보강할 수 있습니다
  • 코어링 리브를 사용하여 싱크 마크 위험 없이 부품의 외벽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재료 및 성형 고려사항

  • 부드럽고 덜 취성이 있는 재료가 나사를 수용하는 데 더 적합합니다
  • 보스 주변 벽 두께는 인접 벽 두께의 60-70%를 넘지 않도록 합니다
  • 빼기 구배는 외경 측 1°, 내경 측 1.5° 정도로 설계합니다

추가 팁

  • 여러 번 나사산 처리가 필요한 경우 몰딩 보스 대신 나사산 인서트 사용을 고려합니다

  • 보스 높이가 20mm를 초과하면 빼기 구배로 인해 하단부 직경이 커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싱크 마크나 기공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두꺼운 보스 형상은 피해야 합니다


이러한 지침을 따르면 강도가 높고 조립이 용이한 스크류 보스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출 성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부품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