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의 부품간 결합시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품 중에 하나가 스크류이다.
너트(인서트)와 같이 사용하기도 하지만 사출물에 직접 체결하여 제품의 생산 비용을 절감
직접 체결할 수 있게 스크류의 크기에 맞게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을 스크류 보스라 한다.
※ 효과적인 스크류 보스 설계를 위한 주요 고려 사항
아래 내용은 보편적인 설계 가이드로 사출기의 성능과 환경에 따른 조정이 필요
크기 및 형상
- 보스의 직경은 사출 성형 부품의 벽 두께(t)와 동일하게 설계
- 보스의 외경은 일반적으로 나사 주직경의 2~2.5배로 설계
- 보스의 높이(h)는 보스 내경의 2배를 넘지 않도록 합니다
내부 구조
- 보스 내경은 나사의 피치 직경보다 약간 작게 설계
- 최소 나사산 물림 깊이는 나사 피치 직경의 2.5배 이상
- 카운터보어를 추가하여 나사 체결 시 변위되는 플라스틱을 수용할 공간을 확보
외부 구조 및 보강
- 보스를 외벽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리브를 이용해 연결하거나 지지합니다
-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리브나 보강판으로 나사 보스를 보강할 수 있습니다
- 코어링 리브를 사용하여 싱크 마크 위험 없이 부품의 외벽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재료 및 성형 고려사항
- 부드럽고 덜 취성이 있는 재료가 나사를 수용하는 데 더 적합합니다
- 보스 주변 벽 두께는 인접 벽 두께의 60-70%를 넘지 않도록 합니다
- 빼기 구배는 외경 측 1°, 내경 측 1.5° 정도로 설계합니다
추가 팁
- 여러 번 나사산 처리가 필요한 경우 몰딩 보스 대신 나사산 인서트 사용을 고려합니다
- 보스 높이가 20mm를 초과하면 빼기 구배로 인해 하단부 직경이 커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싱크 마크나 기공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두꺼운 보스 형상은 피해야 합니다
이러한 지침을 따르면 강도가 높고 조립이 용이한 스크류 보스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출 성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부품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기구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공학의 기초 (18) | 2025.04.02 |
---|---|
전기도금, 무전해 도금, 용융도금의 특징 용도 (4) | 2025.02.07 |
사출물 문제점 및 대책(미성형, 기포, 싱크마크, 웰드라인) (3) | 2025.02.06 |
설계 공차 관리(치수공차, 기하공차, 일반공차, 끼워맞춤) (2) | 2025.02.05 |
스프링 설계(종류, 특징) (4)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