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금은 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을 입혀 내식성, 장식성,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전기도금과 무전해 도금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각각의 특색/장점/단점이 있기에 제품의 특성, 요구되는 성능, 생산 규모,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도금 방식을 선택해야 좋은 제품 제작이 가능하다.
전기도금
전해 용액에 제품을 담그고 전기를 통해 금속을 석출시키는 방식

전기 도금의 다이어그램 - 이미지 출처(듀폰)
장점
- 다양한 금속에 적용 가능
- 균일한 도금층 형성
- 도금 두께 조절이 용이함
-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비용 효율적임
단점
- 복잡한 형상의 제품에 얼룩 발생 가능
- 환경오염 우려
- 전도성이 없는 재료에는 직접 적용이 어려움
주요 전기도금 종류:
- 니켈도금**: 내식성과 장식성이 우수하며, 다른 도금의 하지도금으로 사용
- 크롬도금**: 높은 경도와 내마모성, 장식성이 뛰어남
- 금도금**: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며 장식용으로도 사용
- 은도금**: 전기 전도성이 높고 의료기기, 전자제품에 사용
- 아연도금**: 저렴하고 강철 제품의 부식 방지에 효과적
무전해 도금
화학 반응을 통해 금속을 석출시키는 방식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료에도 적용 가능

무전해 도금의 다이어그램 - 이미지 출처(lemon)
장점
- 복잡한 형상의 제품에 균일한 도금 가능
-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료에도 적용 가능
- 우수한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제공
단점
- 전기도금에 비해 속도가 느림
-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음
- 도금액 관리가 까다로움
용융도금
금속을 녹인 용액에 제품을 담가 도금하는 방식

아연도금 이미지출처(로발)
장점
- 두꺼운 도금층 형성이 가능하여 내구성이 뛰어남
- 대형 제품에 적용하기 용이함
- 생산성이 높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함
단점
- 고온 공정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가 큼
- 제품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음
- 도금 두께 조절이 어려움
용도
- 전신주, 가로등, 가드레일, 건축자재 등
'기구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공학의 기초 (18) | 2025.04.02 |
---|---|
스크류 보스 설계(사출물, 보스, 싱크마크) (2) | 2025.02.06 |
사출물 문제점 및 대책(미성형, 기포, 싱크마크, 웰드라인) (3) | 2025.02.06 |
설계 공차 관리(치수공차, 기하공차, 일반공차, 끼워맞춤) (2) | 2025.02.05 |
스프링 설계(종류, 특징) (4) | 2025.02.05 |